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13. 시사 Issue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13-7. 국내외 경제관련 시사 Issue

"지금 집 사면 안됩니다" 벼랑 끝 한국 경제, 폭탄은 부동산에서 터질 겁니다 | 이현훈 교수 (3부) (4/5 경제야 놀자)

by organizer53 2025. 5. 9.

다음은 2025년 4월 5일 방영된 경제 프로그램 《경제야 놀자》 3부에서 이현훈 교수가 진단한 한국 부동산 위기와 구조적 경제 리스크에 대한 내용을 주제별로 매우 충실하고 가독성 높게 정리한 것입니다.

 

①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번복에 대한 평가

  • 2월 해제, 3월 재도입: 서울시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지정한 상황을 “정책 실패의 반복”이라 비판.
  • 집값 상승 유도: 정부와 서울시의 해제 조치는 시장에 ‘규제 완화 시그널’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강남 중심으로 투기수요 자극, 가격 급등 초래.
  • 결론: 정책의 일관성 상실이 시장 불안정성 심화에 기여했으며, 이는 중산층·청년층의 주거불안을 더욱 키움.

② 부동산 시장의 근본적 구조 문제

  • 공공주택 부족: 싱가포르식 해법 제시 → 공공주택 비중 80%, 자가 소유율 90%의 정책 목표 필요.
  • 보유세·거래세 역전 구조: 한국은 보유세가 낮고, 거래세가 높음 → 시장 유통 둔화, 가격 고착화 유발.
  • 정책적 대안:
    • 공공주택 원가 공급.
    • 보유세 인상 + 거래세 인하 통한 세제 구조 조정.

③ 가계부채, 왜 세계 1위인가?

  • 표면상은 GDP 대비 90% 초반 → 이는 기준 변경으로 인한 통계 왜곡.
  • 전세보증금 포함 시 실질 부채비율 136% 이상:
    • 김세직 교수 분석에 따르면 전세금도 실질 부채로 간주해야 하며, 이 경우 OECD 최고 수준.
    • 정부는 오히려 전세보증금 100% 보장, 전세대출 확대로 부채 구조를 악화시키고 있음.
  • 결론: 정부는 빚을 조장하면서도 부채 억제 프레임을 가장하는 ‘악어의 눈물’을 흘리고 있음.

④ ‘영끌세대’가 맞이할 후폭풍

  • 공급보다 ‘수요 자극’이 문제: 신규 분양·재고 주택 모두 시장에 충분히 나와 있으나, 정부가 대출 특혜 등으로 인위적 수요 유도.
  • 앞으로의 위험 요인:
    • 금리 인하 여력 한계.
    • 실질 소득 감소 및 인구 고령화 → 수요 감소 불가피.
    • 정부 지원 중단 시 하락세 가속화 우려.
  • 경고: 소득 대비 자산 비중 50% 미만인 사람은 “지금 집 사는 건 매우 위험하다”는 입장.

⑤ 한국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해법

  • 정부 개입 최소화: 특례보금자리론, 청년드림대출 등 집값 띄우기 수단은 즉각 폐지해야 함.
  • 근본적 대안:
    • 공공주택 공급 확대.
    • 보유세 강화 + 거래세 완화.
    • 주택정책 목표는 “시장 안정+주거 기회 제공”이어야 함.

⑥ ‘급격히 늙어가는 대한민국’의 위기

  • 출산율 세계 최저: 합계 출산율 0.75 (OECD 평균 1.5의 절반 수준).
  • 고령화 속도 세계 최고:
    • 2024년 고령인구 비중 20%.
    • 2070년대엔 46.5%가 65세 이상 예상 → 일본·이탈리아보다 더 고령국가로 전환.
  • 경제 성장률 하락의 핵심 요인: 인구 감소 + 고령화로 생산·소비·투자 기반 붕괴.

⑦ 산업 및 자산시장 대응 전략

  • 문제는 유동성 배분의 왜곡:
    • 돈이 산업·주식시장으로 안 가고 부동산으로 쏠림.
    • 정부·고위층 자산 구조 자체가 강남 중심 → 부동산 띄우기 정책 유혹.
  • 정부의 해야 할 일:
    • 유동성 부동산 유입 차단, 주식·기업투자 유도로 ‘생산적 자산 배분’ 유도.
    • 공정한 자산 형성 사다리 회복 없이는 청년·중산층 붕괴 가속.

⑧ 이현훈 교수의 결론: 한국 경제의 벼랑 끝, ‘폭탄은 부동산’

  • 지금은 회복 가능성이 아니라 구조 붕괴 초입.
  • 부동산 문제는 단순한 시장 이슈가 아닌 청년·국가 지속성의 핵심 위기.
  • 정책 책임자들이 자신의 부와 이익을 내려놓고 세제 개편·공공정책을 통해 시스템적 개혁을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

 

 

 

 

출 처 : "지금 집 사면 안됩니다" 벼랑 끝 한국 경제, 폭탄은 부동산에서 터질 겁니다 | 이현훈 교수 (3부) 2025.4.5 경제야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