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대한민국 정치와 민주주의 바로 알기/18-4. 대한민국 헌법을 바로 알자
🇰🇷 헌법 쉽게 읽기 ㊴복지국가란 무엇인가요? – 헌법에 나타난 복지국가의 조건과 국가의 역할 (헌법 제10조, 제34조 등)
organizer53
2025. 6. 20. 16:01
📌 들어가며
대한민국은 헌법 제10조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제34조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한다고 명시합니다.
이러한 조항들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은 복지국가로 나아갈 헌법적 기초를 갖추고 있습니다.
오늘은 헌법에 나타난 복지국가의 철학과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복지국가와 관련된 헌법 조항은 무엇인가요?
📖 헌법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 헌법 제34조
①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② 국가는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③ 국가는 재해, 질병, 노령, 실업, 기타 생활능력 상실의 경우에
필요한 사회보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 그 밖의 관련 조항
- 제31조: 교육권
- 제35조: 환경권
- 제36조: 모성과 보육 보호
🧱 2. 복지국가를 구성하는 헌법 요소는 무엇인가요?
영역 | 헌법조항 | 핵심내요 |
인간의 존엄 | 제10조 | 기본권의 출발점, 헌법의 최고 가치 |
사회보장 | 제34조 | 국가의 복지책임, 사회적 약자 보호 |
교육 복지 | 제31조 | 능력에 따른 균등 교육 기회 |
환경권 | 제35조 | 쾌적한 삶의 권리, 지속가능성 포함 |
보건·보육 | 제36조 | 가족·여성·아동 복지의 헌법적 기반 |
🏛️ 3. 이 조항들은 어떤 기능을 하나요?
- 사회권 실현의 헌법적 근거 마련
: 생존권, 복지권, 교육권 등을 국가가 적극적으로 보장할 의무 - 국가책임 강화
: 단지 개인의 노력만이 아닌, 국가 개입과 보호가 헌법에 명시됨 - 정책 방향의 헌법 기준 제공
: 의료, 주거, 교육, 고용 정책은 모두 헌법적 정당성 위에서 진행되어야 함
💬 4. 왜 복지국가 조항들을 알아야 하나요?
복지는 단지 정치적 공약이 아니라,
헌법이 명시한 국가의 의무이자 국민의 권리입니다.
이 조항들을 이해하면,
국민은 정부에 사회적 기본권 실현을 요구할 수 있는 정당한 주체가 됩니다.
복지는 ‘베푸는 것’이 아니라 보장받아야 할 헌법적 권리입니다.
✅ 요약 정리 – 이 글에서 기억할 3가지
- 헌법은 인간의 존엄을 출발점으로 하여 인간다운 생활, 사회보장, 복지정책을 국가 의무로 규정합니다.
- 복지국가는 헌법 제10조와 제34조를 축으로, 교육·환경·보건 등 전 영역을 포함합니다.
- 복지는 개인의 자격이 아닌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보장받는 권리입니다.
📘 다음 편 예고
㊵ 법률과 헌법이 충돌하면 어떻게 되나요? – 위헌법률심판과 헌법 우위 원칙 (헌법 제107조, 제111조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