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의외주화1 3-3-3. 불공정 · 불평등에 분노하는 청년층 1. 평등 · 공평 · 공정에 대한 이해 가 . 평등 · 공평 · 공정의 개념 나. 평등 · 공평 · 공정의 사례 2. 한국 사회의 공정성 논쟁 가. 한국사회의 공정성 논쟁 사례 나. 또 다른 불공정 : 비정규직 문제 (위험의 외주화) 다. 누가 노동시장 유연화를 결정했는가? 지난 3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노동시장의 유연화가 확산되면서 저임금 비정규직 노동자를 급증했다. 한국에서도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자동차, 철강, 조선 등 핵심 산업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노동자들은 고용 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리게 되었다. 외환위기이전 비정규직의 비율은 10퍼센트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30퍼센트를 넘었다. 한편 대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근무 연수와 평균 임금은 점점 격차가 커졌다. 정규직은 기업복지의 혜택을 받.. 2023. 8.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