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2. 그러나 헬조선이라 불리는 대한민국4

2-4. 부와 신분의 대물림으로 계층 사다리가 무너졌다 1. 부의 불평등 : 수저의 대물림 미국·일본·중국의 경우, 성공에 실력이 중요하다는 믿음을 갖는 비율이 전체 세대에 걸쳐 균일한 데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층은 4개국 중에서 가장 믿음이 강했고(70대 76%), 청년층은 4개국 중 가장 낮았습니다.(20대 51%) 이런 차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우리 국민들이, 특히 우리 청년들이 터무니없이 비관적이라고 봐야 할까요? 관련 학자들과 대화한 바로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우리 사회가 역사적으로 부의 세습이 낮은 사회에서 높은 사회로 옮겨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국내 여러 연구에서 이동성이 낮아지고 세습이 강화되는 경향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직장인의 92%가 ‘수저계급론’을 현실이라.. 2023. 6. 27.
2-3. 노동시간이 OECD 국가중 5위로 긴 대한민국 1. 노동시간이 OECD국가 중 5위인 대한민국 OECD에 보고된 주요 국가들의 임금근로자 연간 근로시간을 비교해 보면, 2019년 기준 한국의 근로시간은 1,957시간으로 비교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깁니다. 근로시간이 보고되지 않은 국가들이 많아 평균 대비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비교대상 국가들 중에서는 월등히 길다. 독일이나 덴마크의 근로시간은 1400시간 미만이고, 한국 다음으로 긴 미국의 근로시간도 1,786시간에 그치고 있습니다. 2. 외국과의 노동시간 비교 한국의 년간 근로시간은 2008년까지만 해도 2120시간으로 세계 최장 근로국가인 멕시코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이후 2012년 2092시간, 2016년 2052시간으로 점진적으로 줄어 2018년 1967시간으로 OECD 회원.. 2023. 6. 23.
2-2. OECD 국가중 자살률 1위인 대한민국 OECD 자살률 1위의 “자살공화국” 가. 2019년 자살률 10만 명당 26.9명으로 OECD 국가 중 19년간 1위 2019년 자살로 숨진 사람은 13,779명으로 하루 평균 38명씩 극단선택, 연령 높을수록 자살률도 높아져, 한국 10 - 30대 청년 자살률이 세계평균의 3-4배 수준으로 심각하며, 그 원인은 철학적 번뇌로 인한 삶의 허무를 자각해서 생긴 자살이 아닌 살인적인 경쟁구조 때문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이것은 사회적인 타살인 것입니다. 자살률은 1998년 외환위기 시기에 크게 늘었고 2000년대 들어 다시 증가하였다. 2010년을 전후로 인구 10만 명당 30명을 넘은 적도 있으나 이후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19년 현재 26.9명으로 집계되어 OECD 국가중 1위를 기록 한국은 .. 2023. 6. 4.
2-1. 대한민국이 헬조선이라 불리는 이유 1. 왜 대한민국은 “헬조선”이라 불릴까? 정치 민주화와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룬 대한민국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에 진입할 만큼 ‘잘 사는’ 나라입니다. 또한 한국은 최근 코로나19 사태에 맞서, 성숙한 시민 의식과 혁신적인 공공의료 서비스로 전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국민들은 정말 “잘 사는” 겁니까? 그런데 조금만 더 깊이 들여다보면 한국인들이 하루 평균 37.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출생률 ‘ 0 ’ 명대, 높은 노인 자살률과 노인 빈곤은 뉴스를 통해 자주 접하는 키워드입니다. 정치 민주화도 했고, 높은 경제 성장도 이루었는데 도대체 우리나라는 왜 ‘헬조선’이라 불리게 된 것일까?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에서 불평등은 많은 이들이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 2023.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