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4. 독재정권과 싸워 쟁취한 민주정권/4-2. 45년 장기집권을 누린 군사독재정권(박정희,전두환,노태우)5

4-2-5. 보수 극우 기독교의 정치 세력화 1. 극우 개신교의 정치세력화가. 극우 개신교의 등장개신교 교회 선교사와 목사들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교육·자선사업에 앞장섰고, 해방 후에도 민주화·인권·노동·농민·빈민·시민운동의 최전선에서 고난을 자청하며 십자가를 졌다.목사의 정당 참여는 해방 직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 보수 기독교의 뿌리인 영락교회 설립자 한경직 목사는 1945년 9월 신의주제2교회 목사로서 ‘기독교사회민주당’을 창당한다. 이후 북한에서 목사와 장로들은 공산당에 숙청을 당하거나 교회와 재산을 몰수당하고 월남한다.공산당을 증오하는 월남 기독교인들은 한국 기독교의 원조 격인 미국과 한국을 개신교 국가로 만들고자 했던 이승만 전 대통령 등 반공·극우·친미 이데올로기를 공유하는 삼각편대를 형성한다.1947년 영락교회에서 월남 크리스천들.. 2024. 11. 23.
4-2-4.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민주화 운동 1980년 이후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민주화 운동 1.   12.12 사태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 장악)박정희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유신 헌법에 대한 통치가 사실상 막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당시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하였고 이어진 대통령 선거(통일주체 국민회의를 통한 간접선거)에서 10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국민들은 민주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였습니다.1979년 10.26 사건으로 유신체제가 사실상 붕괴한 후 5.18 민주화운동이 신군부에 의해 무참하게 짓밟힐 때까지 한국에 민주화의 희망이 찾아왔던 기간(1979년 10월 27일 ~ 1980년 5월 17일)을 일컫는 말로 "서울의 봄"이라 하였습니다. 1968년 체코슬로바.. 2023. 10. 13.
4-2-3. 재벌중심 경제정책과 정경유착 1.  재벌중심의 경제체제의 출범       재벌을 통해 정치자금을 조달받음  →   정경유착 필연 3.  역대 정권별 친재벌, 정경유착 사례  4.  정권별 정경 유착의 역사1988년 제 5공화국 청문회에 재벌 총수들이 출석하였습니다. 삼성 이건희 회장, 선경(SK) 최종현 회장, 롯데 신격호 회장, 현대 정주영 회장, 럭키금성그룹( LG) 구자경 회장, 한진 조중훈 회장 등이었습니다.  28년이 지난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국회에는 또다시 재벌 총수들 9명이 출석하게 됐습니다. 세대교체만 됐을 뿐, 앞서 나온 6개 회사는 그대로였습니다. 삼성 이재용 부사장, SK 최태원 회장, 롯데 신동빈 회장, 현대 정몽구 회장, LG 구본무 회장, 한진 조양호 회장 등입니다. 이렇게 세대를 .. 2023. 10. 13.
4-2-2. 수구보수 기득권 세력의 DNA 1. 독재 (45년 장기집권)   2.  반공 (색깔론)  가.  한반도 분단은 대한민국을 독특한 기형사회를 만든 주범1945년 분단과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서 좌익이나 좌파, 진보라는 단어는 치명적 위험을 내포한 단어였습니다. 이념과 관련이 없는 무고한 사람들이 남쪽과 북쪽에서 좌나 우로 몰려 목숨을 잃었습니다.분단체제 남쪽에서 정적에게 좌파나 빨갱이 딱지를 붙이는 색깔론 공세는 매우 효과적인 선동이었습니다. 이승만 독재가 그랬습니다. 박정희 개발독재 시대에는 유럽에서 불붙은 6·8 혁명을 차단하여, 6·8 혁명이 추구한 사회와 정반대 되는 사회를 만들었으며, 억압과 굴종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되었다. 색깔론은 분단체제의 저주였고 재앙이었습니다.한국은 세계의 흐름에 뒤쳐졌고, 이념 갈등이 치열.. 2023. 9. 5.
4-2-1. 권위주의 독재 정권의 45년 장기집권 1.  대한민국의  70년  짧은 민주주의 역사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1945년 해방 이후에 비로소 시작      -  이승만 반공독재와 박정희 개발독재에 의해 상당 기간 동안 지체되었고          -  민주주의의 탈을 쓴 권위주의 독재지도자들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당, 의회와 같은         민주적인 제도들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국내·외적으로 정당성을 획득하여,         권력 유지에 필수인 해외 원조와 투자를 유치하였다.      -  독재정권에 저항한 광주민주화 운동을 통해 한국민주주의 기반을 구축되었고, 민주주의는         적어도 절차적, 정치적 민주주의의 측면에서는 상당한 정도의 발전을 이룩하게 되었다. 나.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한계      첫째는 .. 2023.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