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8.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55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및 내란 관련 정국 정리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내란 관련 쟁점을 아래와 같이 구조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및 내란 관련 정국 정리 1.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헌법재판소, 2025.4.4)🔹 사건명2024헌나1 대통령 윤석열 탄핵심판🔹 결정일2025년 4월 4일🔹 결정 결과8:0 전원 일치 인용 → 대통령 파면🔹 주요 사유 ① 계엄 해제 지시 방해 (헌정질서 중대 침해) ② 민주주의 체제 전복 기도 ③ 비밀통신망 폐쇄 등 국기문란 행위 ④ 지휘·명령계통 장악 시도 ⑤ 12.3 계엄령 실행 시도(내란 실행 착수) 구체 내용🔸 2023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령 선포 직후 계엄 해제에 저항하고, 반대 움직임을 조직🔸 계엄령 해제 지시를 내리는 군수뇌부를 지휘계통.. 2025. 4. 10.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중점정리 이 사건 계엄선포의 법률 및 헌법 위반여부를 심사할 수 있고 탄핵 소추에 대한 절차적 흠결 없음. 탄핵 소추에서 '내란죄' 뺀 것은 문제 없음 이 사건 탄핵심판 청구 절차 등은 모두 적법함. 이제 윤석열의 행위에 대한 본론 들어감 - 계엄선포 당시에는 줄탄핵이 아니라 방통위원장과 검사 1인에 대한 탄핵만 진행되었음. 계엄선포 당시에는 예산안 논의중이어서 국회의 예산심의권 남용도 아님 - 부정선거는 사실이 아님. 부정선거 사실을 알아보려면 계엄이 아니라 대통령의 평소 권한으로 확인 가능함. - 국회에 군대 투입한 것은 경고성, 호소용 계엄이라 볼 수 없음 결과적으로 계엄선포는 실체적 요건을 어긴 것임 - 계엄의 절차적 요건 - 국무회의에서 계엄에 대한 심의 이뤄졌다고 볼 수 없다 국회에 대해서도 계엄을 선.. 2025. 4. 7.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숨멎게 한' 결정적 증언 3 [4/5 MBC뉴스] 🟥 [2025.02.13 / 뉴스데스크 / MBC]"'의원 끌어내라' 직접 들어"‥조성현, 상관 대신 입 열었다증언자: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경비단장핵심 내용:"국회의원 끌어내라"는 지시를 직접 들었다고 증언.이진호 당시 수도방위사령관이 12월 4일 새벽, “본청 안으로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공포탄도 지참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확인.평소와 달리 출동 시 공포탄을 챙기라는 지시를 받음.윤 대통령 측 반박: “의인 행세, 허위 진술” 주장.조성현 반박:"내가 거짓말하면 부하들이 다 안다. 나는 위인도 아니고 거짓말도 못한다."결과: 재판부는 조성현의 진술조서와 통화 녹취록을 증거로 채택.🟥 [2025.02.07 / 뉴스투데이 / MBC]"끌어내라' 대상은 의원‥철수 지시도 없어"증언자: 곽종.. 2025. 4. 5.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과 관련한 선고전문 분석 다음은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과 관련한 ① 선고 전문 요지 분석, ② 재판관별 입장, ③ 헌재가 명시한 5대 위헌·위법 쟁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1.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선고 전문 요지 분석🔹 결론: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8:0 전원일치)선고 시각: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결정 근거: 헌법과 법률 위반의 중대성, 국민 신임 배반, 헌정질서 훼손🔹 선고 요지 핵심헌법적 책무 위반“대통령은 국민 전체의 통합을 위한 지도자이자 헌법 수호자. 그러나 피청구인은 특정 지지층만을 의식하며 공동체 분열을 조장했다.”비상계엄 선포의 위헌성“당시 상황은 계엄요건을 충족하지 않았다. 실질적 내란 상황은 없었고, 선포 자체가 위헌적이었으며 국민의 충격과.. 2025. 4. 4.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문을 분석해 보면 (4/4 MBC 뉴스) 다음은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문 전문을 분석하여 핵심 쟁점별로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절차적 적법성: 탄핵심판 청구는 적법함개엄 선포 사안의 사법심사 가능성 인정→ 고도의 정치적 행위라도 헌법·법률 위반이 있는 경우 심사 가능.법사위 조사 생략 적법→ 국회법상 법사위 조사 여부는 재량임.일사부재의 원칙 위반 아님→ 1차 부결 후 회기 변경되어 재발의 가능.개엄 해제되어도 심판 이익 존재→ 위헌·위법행위는 이미 발생, 판단할 가치 있음.소추 사유 포섭 변경 허용→ 내란죄에서 헌법 위반으로 법적 구성만 바뀌었을 뿐 사실관계 동일.🔹 2. 주요 탄핵 사유 및 위헌·위법 판단(1) 비상개엄 선포 자체의 위헌성실체적 요건 미충족→ “국가 비상사태” 실질 없음... 2025. 4. 4.
우원식 국회의장 기자 회견 (4/4 뉴스특보/MBC)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헌법 재판소가 윤성열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습니다그 결정의 무게를 깊이 새깁니다대한민국은 이제 한 걸음 더 전진해야 합니다깜깜하고 긴 터널를 지나온 것 같습니다충격과 혼란의 시간을 함께 견뎌낸 국민 여러분께 깊은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모두가 힘든 시간이었습니다경제와 민생이 더 어려워지면서 실직과 폐업 등 감당하기 힘든 좌절을 겪은 분들도 계십니다아픈 마음을 놓지 않고 여러분의 손을 잡겠습니다이제는 모두의 일상이 제자리를 찾아가길 소망합니다국회도 국민의 일상 회복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헌재의 결정은 어느 한쪽의 승리가 아닙니다 헌법의 승리이고 민주주의의 승리입니다오늘로 우리는 대한민국에서 그 누구도 법위에 굴림할 수 없다는 것을 거듭 확인했습니다어떤 권력이라도 위헌 위법.. 2025. 4. 4.
[전문] 헌법재판소,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정문 (4/4 헌법재판소) 지금부터 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적법요건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➀ 이 사건 계엄 선포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는지에 관하여 보겠습니다. 고위공직자의 헌법 및 법률 위반으로부터 헌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심판의 취지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 계엄 선포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행위라 하더라도 그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➁ 국회 법사위의 조사 없이 이 사건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점에 대하여 보겠습니다.헌법은 국회의 소추 절차를 입법에 맡기고 있고, 국회법은 법사위 조사 여부를 국회의 재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사위의 조사가 없었다고 하여 탄핵소추 의결이 부적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➂ 이 사건 탄핵소추안의 의결이 .. 2025. 4. 4.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이후 절차 흐름도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이후 절차 흐름도 (인용 기준)1️⃣ 헌법재판소 선고 (4월 4일 오전 11시 예정)헌재 소장(권한대행 문영배 재판관)이 결정 주문 낭독예: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이 주문 낭독과 동시에 대통령직 박탈윤 대통령은 즉시 자연인이 됨.그 시점부터 대통령의 모든 권한 소멸.2️⃣ 전직 대통령으로 전환 → 제한적 예우적용: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 허용: 최소한의 신변 안전을 위한 경호❌ 배제:전직 대통령 연금 지급 없음비서관·사무실 지원 없음의전·예우 전면 배제3️⃣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대통령 궐위 발생 시, 헌법 제71조에 따라➤ 국무총리(한덕수)가 대통령 권한대행권한 범위:외교·안보 등 통상적 국정 운영새로운 중대 결단은 제한됨4️⃣ 60.. 2025. 4. 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시나리오 3가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시나리오 3가지를 헌법재판소 판결의 가능성과 정치적 파장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각 시나리오는 실제 법리와 정치 상황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시나리오 1. 탄핵 인용 (파면)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사유가 중대하다고 판단 → 헌재 6인 이상 찬성 → 파면 결정🔹 법적 판단위헌·위법행위(계엄령 검토 등)가 헌법 수호 의무 위반으로 중대하다고 판단내란 관련 정황, 비선조직 개입 등 증거가 헌재 다수에게 설득력 있음🔹 정치적 후폭풍윤 대통령 즉시 파면 → 60일 이내 조기 대통령 선거 실시여권은 급격한 분열 또는 반격 체제 돌입야권은 이재명 vs 제3후보 구도로 대선 정국 전환광화문 환호 vs 태극기 집회 충돌 가능성 → 사회적 혼란 가능성도 존재🔹 특징 요약  ✅ 시나.. 2025. 3. 25.
내란 수사기록으로 본 '정치인 체포'의 진실 〈주간 뉴스타파〉 아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인 ‘정치인 체포조’ 관련 보도를 자세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체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윤석열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 ‘정치인 체포조’ 실체📍 배경 요약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이르면 다음 주로 예정.헌재가 심리한 5가지 탄핵 사유 중, ‘정치인 체포조 운영’ 의혹이 가장 치열한 공방이 벌어진 핵심 쟁점.대통령 측은 “그런 지시 없었다” 주장,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은 “윤 대통령이 직접 지시·관여” 주장.📍 쟁점 요약: 체포조 존재 여부 vs 대통령 관여 여부쟁점윤석열 대통령 측탄핵소추위원단정치인 체포조 존재전면 부인실재했다고 주장체포조 지시·관여전혀 지시 안 했다윤 대통령이 직접 관여했다고 주장관련 증거·진술“홍장원은 거짓말쟁이”.. 2025.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