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11. 시사 Issue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Season 1)/11-5. 주요 경제관련 시사 Issue를 정리(整理)해드립니다

SKT 유심 해킹 사태 대응 SKT 유심과 은행 입출금 계좌 꼭 ‘이렇게’ 하세요!

by organizer53 2025. 5. 1.

다음은 잇섭 님의 유튜브 영상 “SKT 유심 해킹 사태 총정리 – 무엇이 문제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의 전체 내용을 핵심 요약 + 구조화 정리한 것입니다.

🧨 ① 사건 개요: SKT HSS 서버 해킹

  • HSS 서버란?
    • 가입자 인증·단말 식별 관리 시스템 (유심 인증 정보, IMSI, IMEI 등 포함)
  • 2025년 4월 18일 해킹 발생
    • SKT는 19일 인지한 척하며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18일에 이미 인지
    • KISA 신고 시점도 법정기한(24시간) 초과
  • 해킹 방식:
    • 중국 해커조직 유사 공격 방식(BPF 도호 기법)
    • GitHub 오픈소스 기반 악성코드 사용 → 추적 어려움

📉 ② 왜 위험한가: SIM 복제(심클로닝) 가능성

  • 유심 정보 복제 → 내 번호를 타인이 사용할 수 있음
    • → 은행·카카오 인증 등 대부분의 서비스 인증 가능
  • 실제 위협:
    • SKT 인증 중단 사례: KB라이프·NH농협생명 등 일부 금융사
    • 내 폰이 꺼지면, 해커 폰이 대신 접속할 수 있음

🔥 ③ SKT 대응 타임라인 요약

날짜대응 내용
4/18 해킹 인지 (비공개)
4/22 첫 언론 보도자료 배포
4/23 전 고객 문자 공지 예고 → 실제 미발송
4/24 유심보호 서비스 확대, 알뜰폰도 포함
4/25 CEO 사과문 발표, 유심 무료 교체 조치 발표
4/30 유심 교체 예약 시스템 개설
 

❗ ④ SKT 대응 문제점

  • 🕒 초기 고지 지연문자 공지 미이행
  • 🤷 피해 범위/유출 정보 비공개 → 고객 혼란
  • 💬 유심 보호 서비스 외에는 실질적 안내 부족
  • 🧾 유심 교체 안내 부족 + 유심 재고 부족
  • 🧓 디지털 취약층 위한 택배/방문 서비스 부재

🛡️ ⑤ 대처법 요약

1) 유심 교체

  •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
  • PS&M 지점 방문 권장 (SKT 직영점)
  • 알뜰폰 사용자도 해당
  • 이심(eSIM) 사용자도 새로 발급 권장
    • 단, 자급제 단말은 대리점 방문 필요
  • 교통카드 기능 있는 유심은 환불 후 교체 필요

2)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 역할:
    • 유심 복제된 경우 IMEI 비교로 차단
    • 로밍 등 비정상 망 접속 원천 차단
  • 주의사항:
    • 신규폰 교체 시 서비스 해제 후 재가입 필요
    • 로밍 시 복잡한 절차 → 해외여행자 불편
    • 피해 발생 시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에 한해 보상

3) 주의사항

  • 문자/전화로 “재부팅 요청” → 절대 금지
  • 핸드폰 내 주민증, 여권 스캔본 등 삭제 권장
  • 유심 비밀번호 설정” → 이번 사태와 무관

📱 ⑥ 부가 정보 및 제안

🔁 이심(eSIM) 전환 활용 제안

  • 이심 지원 단말: 아이폰 XS 이후, 갤럭시 S23 등
  • 유심 부족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검토 가능

🛑 SKT의 책임 범위 재정의 필요

  • 해킹 피해는 “사후 조치 조건부 보상”이 아닌 → 사전 피해 예방 못한 책임 인정 필요

🧾 ⑦ 결론 및 제안

항목평가 및 제안
사건 투명성 해킹 시점, 유출 규모, 대상자 범위 공개 필요
고지 방법 뉴스룸 대신 문자·앱 푸시 등 접근성 높은 고지 강화 필요
피해 대응 유심 교체 + 보호 서비스 병행 / 택배 서비스 도입 권장
고령자 배려 대면 접근 어려운 고객 위한 방문 서비스 적극 도입 필요
 

🔚 한 문장 정리

이번 사태는 단순한 통신사 보안 문제가 아닌, 인증 기반 금융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광범위한 리스크 사건이며, 고객이 아닌 SK텔레콤이 책임지고 구조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안입니다.

 

 

 

다음은 2025년 4월 기준 SKT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유튜브 채널 마줌마TV에서 전한 중요 정보 보호 제도와 실질적인 대처 방안을 구조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① 사건 개요 – SKT 유심 정보 유출 사태

  • 사건 발생: SK텔레콤 가입자의 유심 정보가 유출됨
  • 가입자 수: SKT만 2,300만 명 이상
  • 문제점:
    • 유심이 복제될 경우 타인이 내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처럼 금융 거래 가능
    • 통화, 문자, 인증번호 등 정보 도용 → 대출, 결제, 명의 도용 등 2·3차 피해로 확산

🔷 ② 유심 유출 피해 유형

  • 유심 복제 → 타 기기 장착 → 사용자 행세 가능
  • 금융사고 사례:
    • 몇 초 만에 수천만 원 송금
    • 비대면 대출 실행
    • 신용카드 무단 발급
    • 보이스피싱 자금 계좌로 악용

🟢 ③ 통신사 무관, 모든 가입자 주의 필요

  • SKT 외 KT, LG U+ 사용자도 전혀 안전하지 않음
  • 명의로 개통된 모든 휴대폰 사용자는 잠재적 피해자

🛡️ ④ 예방 제도 1: 여신거래 안심 차단 서비스

  • 내용: 신용대출·카드발급 등 모든 신규 여신거래를 사전 차단
  • 대상 금융기관: 은행·저축은행·상호금융·우체국 등 4012개사
  • 신청 방법:
    • 방문: 은행, 우체국 등 영업점
    • 비대면: 일부 은행 앱, 온라인 신청 가능 (추후 확대 예정)
    • 한 곳만 신청해도 전체 금융권 적용
  • 차단 항목 예시:
    • 신용대출, 카드론, 신용카드 발급
    • 보험 계약 대출, 예금담보 대출, 할부금융 등
  • 🚫 신용등급에 영향 없음

🔐 ⑤ 예방 제도 2: 비대면 계좌 개설 안심 차단 서비스

  • 내용: 내 명의로 비대면 신규 계좌 개설을 차단
  • 필요성:
    • 악성 링크 클릭 → 정보 탈취 → 모르게 계좌 개설 → 자금 세탁 악용
  • 적용 대상: 3,613개 금융회사
  • 신청 방법:
    • 방문: 거래 은행
    • 비대면: 은행 앱, 어카운트인포
  • ✅ 신청 시 즉시 한국신용정보원에 등록 → 금융권 전체 계좌 개설 실시간 차단

🔁 ⑥ 제도 해제 및 재신청 가능

  • 특정 거래 필요 시 일시 해제 후 재신청 가능
    • 예: 대출, 카드 발급 시
  • 영구 제한 아님, 본인 의사로 유연하게 운영 가능

📌 ⑦ 요약 정리

구분주요 기능신청 방법
여신거래 안심 차단 신규 대출·카드 발급 전면 차단 은행 방문 / 일부 앱 신청 가능
비대면 계좌 개설 차단 비대면 신규 계좌 개설 차단 은행 방문 / 어카운트인포 등 앱 신청
 

📣 마무리 안내

  • 60대 이상 고령층은 피해에 특히 취약 → 자녀가 대신 안내하거나 위임장 통한 대리 신청 권장
  • 이번 유심 유출 사건은 단순 통신사 문제가 아닌 금융보안 리스크로 인식해야 함
  • 휴대폰 사용자 모두가 해당 서비스 2종을 적극 활용해 예방 필요




출 처 : 최악의 사태와 대응.. SKT 유심 해킹&피해 대처법 총정리 2025.4.28 ITSub잇섭

          본인명의로 개설된 모든 은행 입출금 계좌 꼭 ‘이렇게’ 하세요! 2025. 4. 28. 마줌마TMI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