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6. 대한민국 정치와 민주주의 바로 알기/6-3. 자본주의를 바로 알자

6-3-1. 자본주의 변천사(진화형태)

by organizer53 2024. 4. 4.

 

 

  • 시대가 고대 - 중세 - 근대를 거치면서 생산 수단은 토지 - 장원 - 공장으로 변화했고, 생산 수단을 소유한 계급은 왕 - 영주 - 부르주아로 변화했다
  • 역사는 생산 수단에 의한 계급 갈등이라는 단순한 구조에 따라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1.  경제체제로서 자본주의의 승리이며, 유일한 대안

 생산수단의 개인소유를 인정하는 경제 체제  (개인의 사유재산 인정)
-  필연적인  빈부격차 발생 (정부의 최소 개입 필요 : 세금의 부과  공정규제)
 

-  성장 원동력은 경쟁

 2차 세계 대전을 끝으로
 

       전체주의, 파시즘, 나치즘, 제국주의 → 민주주의의 승리

       공산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 자본주의가 유일 대안

       공산주의는 실패, 사회주의는 사회민주주의 정당정치로 변모

 

 

 

 

 

2.  자본주의 경제정책의 변천 (경실련  이근식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