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운동의 핵심은 '자율성'
수만, 수십만 마리의 새가 한꺼번에 날아올라 군무를 추는 장면
- 새 떼는 극도로 무질서해 보이지만 새들끼리 충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자율적인 움직임을 통해 그들만의 질서를 이뤄내기 때문이다.
물고기 떼가 바다를 새카맣게 수놓으며 이동하는 장면
- 어떻게 그 많은 개체가 서로 부딪히지 않으면서 일정한 궤도를 이동할 수 있을까.
- 무질서한 집단이 이뤄내는 질서화된 운동이 '군집(Flocking)현상’
각 개체는 △서로 일정하게 떨어져 있고 (분리성)
△주변 개체들이 이동하는 방향의 평균값으로 이동하며 (정렬성)
△주변 개체들로부터 낙오되지 않아야 한다 (결합성) - 새나 물고기 떼에는 명령을 내리는 대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각 객체들이 서로 간단한 정보만 교환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동한다. - 군집이론은 무인폭격기에서도 사용된다. 무인폭격기의 단점은 실을 수 있는 폭탄 양이 적다는 것.
그래서 큰 타격을 입히려면 3, 4대가 동시에 출격해야 한다. 그런데 조종사 3, 4명이 동시에 원격으로 조종하면 무인폭격기가 서로 충돌할 위험이 크다. 새들처럼 군집비행이 필요한 것이다. 한 대만 원격 조종을 하고 나머지는 그 비행기와 정보를 주고 받으며 날도록 설계하는 게 해답이다.
'13. MY 인문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과 원칙이 중요합니다. (0) | 2023.07.29 |
---|---|
최소량의 법칙 (0) | 2023.07.29 |
마 중 물 (calling water) (0) | 2023.07.29 |
깨진 유리창의 이론 (Broken Windows Theory) (0) | 2023.06.21 |
나의 이름은 기회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