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13. 시사 Issue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13-3. 토론 프로그램을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신동욱, 12·3 군인들의 국회 침입, 큰 위협 아니었다(3/26 썰전 JTBC)

by organizer53 2025. 3. 27.

다음은 JTBC 3/26 썰전 토론 내용의 핵심을 정리한 것입니다. 두 가지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나눴습니다:

 

1.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 탄핵 당시 국회 개입 관련 쟁점 정리

🔴 핵심 장면: 군의 국회 진입

  • 군이 국회 유리창을 깨고 진입한 장면은 국민들 뇌리에 강하게 남아 있음.
  • 개엄포고 1호에 따라 국회 무력화 및 정치활동 중단을 위한 시도였는지 여부가 핵심 논점.

🟡 상반된 시각

  • 일부 패널은 **"실제로 국회의원들을 끌어내기 위해 들어온 것이 맞느냐"**는 의문을 제기.
    → **"군이 투표 방해하려 온 건지 명확하지 않다"**는 주장도 나옴.
    → 진입 시각(12시 40분) 이전(11시 50분)까지도 군인은 대기 중이었고, 정족수는 이미 확보된 상태.
  • 반론 측은 다음과 같이 주장:
    • 무장한 군인이 헬기로 국회에 투입되었고, 실제로 국회 내에서 '우리를 잡아갈 수도 있다'는 공포 분위기가 있었다.”
    • 당시 한동훈 전 대표도 “잡혀갈 수 있으니 숨으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회고함.
    • “국민이 구성한 국회를 군이 봉쇄하는 건 용서할 수 없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비판.

🕰️ 국회의장 역할 논란

  • 당시 정족수는 12시 30분경 이미 충족됐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장은 1시 3분까지 절차를 지연.
    • 이에 대해 "절차 준수 의지였다"는 평가와 "이재명 대표 도착까지 기다린 것 아니냐"는 비판 공존.

 

2. 국민연금 개혁안 18년 만의 여야 합의 관련 정리

✅ 개정안 주요 내용

  • 보험료율: 9% → 13%로 점진 인상
  • 소득대체율: 40% → 43%로 상향
    → 즉, 더 내고 조금 더 받는 구조로 개편됨.

🔍 주요 논쟁점

  • 18년간 미뤄진 연금개혁이 이번에 합의된 이유에 대한 해석 갈려:
    • 한쪽은 “윤 대통령이 개입하지 않아 합의 가능했던 것”이라고 분석.
    • 다른 쪽은 “핵심 쟁점(예: 자동조정장치)을 민주당이 수용하지 않아 협상 지연된 것”이라고 반박.

🔁 자동조정장치(controversial point)

  • 경제 상황 악화 시 연금 급여 자동 삭감 가능토록 하는 장치.
  • 여당은 이 장치가 필수라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반대 입장.

🧠 시민 공론조사 결과

  • 국회가 주관한 공론조사에서 처음엔 ‘재정 안정’ 선호가 높았으나, 이후 ‘소득 안정’으로 민심 변화됨.
  • 최종 조사에서 소득 안정 선호가 13%P 더 높음.

→ 이에 대해:

  • “시민 의사를 반영해 입법하자”는 주장과
  • “시민 뜻만으로는 안 되며, 정부가 재정 지속가능성을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

종    합

  • 국회 무력화 시도에 대한 진실 공방은 헌법재판소 평의의 핵심 쟁점이기도 하며,
  • 연금 개혁은 차선도 아니고 차악 수준의 선택이지만, 정치적 교착 상태를 한 걸음 넘긴 합의로 평가됨.

양 사안 모두 헌정 질서 회복과 제도적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더 큰 틀에서 향후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썰전 11회|탄핵심판 선고일 지정 임박 관측 (25.3.27) / 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