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선거 의혹에 대한 분석과 반박
최근 한국에서 부정 선거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제21대 총선 이후 본격적으로 불거졌으며, 다양한 소송이 제기되었지만 법원이 부정 선거를 인정한 판결은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이번 정리에서는 주요 부정 선거 의혹과 그에 대한 반박을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전자 개표기 조작 의혹
📌 주장: 개표 과정에서 전자 개표기를 해킹하여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 반박: 대한민국에는 전자 개표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투표는 ‘수개표’ 방식으로 진행된다.
✅ 개표 과정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 투표지 분류기:
- 단순히 투표지를 후보별로 나누는 기계.
- 자동으로 후보별로 분류하나, 최종 확인은 사람이 직접 진행.
- 분류된 투표지는 검표원이 한 장씩 육안으로 다시 확인.
- 계수기 사용:
- 투표지의 개수를 세는 기계(은행의 돈 세는 기계와 유사).
- 개표원이 직접 확인 가능한 속도로 작동.
- 최종 검수 및 공표:
- 선관위 위원장이 개표 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전, 각 정당 참관인이 전 과정을 감시.
- 문제가 있으면 즉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음.
🔹 결론: 개표 과정은 철저하게 감시되고 있으며, 해킹이나 조작이 불가능하다.
🔹 법적 검토: 전자 개표기 관련된 모든 소송에서 법원은 문제가 없다는 판결을 내림.
2. 선관위 컴퓨터 해킹 가능성
📌 주장: 개표 자체는 정상적으로 진행되더라도, 선관위의 중앙 서버가 해킹되면 결과를 조작할 수 있다.
🔍 반박: 선관위 개표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아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 해킹 가능성이 없는 이유
- 개표장에서 사용되는 컴퓨터는 인터넷과 완전히 차단된 상태로 운영.
- 해킹을 하려면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지만, 선거 과정에서는 불가능.
- 개표가 끝난 후, 최종 결과는 정당 참관인의 검토를 거쳐야 공표됨.
🚨 일부 주장: 제조 과정에서 해킹 가능성?
- “컴퓨터 제조 시 미리 악성 프로그램을 심을 수 있다.”
- “납품·배송 과정에서 조작될 수 있다.”
🔹 반박:
- 컴퓨터가 제작된 후 선거까지 오랜 시간이 흐르는데, 특정한 시점에 맞춰 작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비현실적.
- 제조업체, 납품업체, 선관위 직원 등 너무 많은 사람이 관련되어야 하는데, 이 비밀이 유지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거의 없음.
- 결정적으로, 개표 결과가 실제 득표수와 다르면 정당 참관인이 바로 이의를 제기할 것.
3. 외국 전문가의 해킹 가능성 주장
2020년, 반도체 전문가 벤자민 윌커슨이 “투표지 분류기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신뢰성이 부족했습니다.
✅ 그의 주장에 대한 반박
- 취재진이 “어떤 근거로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고 했는가?” 질문했지만, 답변을 거부.
- 법원에서 기술 감정을 요청했지만, 부정 선거 측이 감정료를 납부하지 않아 진행되지 않음.
- 이후에도 부정 선거 측은 추가 증거 제출이나 감정 요청을 하지 않음.
🔹 결론: 주장만 있었을 뿐, 기술적으로 검증된 바 없음.
4. 숫자 조작 의혹
(1) 사전투표 득표율 차이
📌 주장:
- 사전투표에서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이 본투표보다 10% 이상 높았다.
- 이는 사전투표가 조작되었다는 증거다.
🔍 반박:
- 사전투표와 본투표를 한 유권자의 성향이 다를 수 있음.
- 2020년 당시, 보수 성향 유권자들 사이에서 “사전투표는 조작될 수 있으니 본투표일에 가자”는 분위기가 강하게 퍼짐.
- 즉, 본투표에서는 보수층 투표가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음.
(2) 비례대표와 지역구 득표율 차이
📌 주장:
- 비례대표에서는 미래한국당(33.84%)과 더불어시민당(33.35%)이 비슷한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지역구에서는 민주당이 크게 이겼다. - 이는 지역구 투표가 조작된 증거다.
🔍 반박:
- 비례대표 투표는 더 많은 정당이 참여했기 때문에 표가 분산됨.
- 진보 성향 정당들이 많았고, 유권자들이 전략적으로 비례대표와 지역구 투표를 다르게 했을 가능성이 큼.
- 사표 방지 심리로 인해 지역구에서는 주요 정당(민주당, 미래통합당)으로 표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
(3) 63:36 음모론
📌 주장:
- 서울, 경기, 인천의 사전투표에서 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득표율이 63:36으로 동일하다.
- 이는 조작의 증거다.
🔍 반박:
- 단순한 숫자 패턴을 찾아 음모론을 만들 가능성이 큼.
- 실제 개별 선거구의 득표율은 다 다름.
- 특정 정당의 득표율만 따로 떼어 계산한 후, 특정 숫자 패턴을 강조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주장.
5. 형상기억 종이 & 일장기 투표지 논란
(1) 형상기억 종이 논란
📌 주장:
- 개표장에서 발견된 일부 투표용지가 빳빳한 상태였다.
- 이는 접힌 적이 없는 ‘사전 제작된 가짜 투표지’일 가능성이 있다.
🔍 반박:
- 선관위는 투표용지의 인주 번짐과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재질을 사용함.
- 법원 감정 결과, 조작의 흔적이 없으며 현미경으로 보면 접힌 흔적이 확인됨.
- 긴 투표용지는 둥글게 말아 넣으면 접힌 흔적이 덜 남을 수 있음.
(2) 일장기 투표지 논란
📌 주장:
- 일부 투표용지에서 도장이 뭉개져 빨간 원처럼 보였다.
- 이는 가짜 투표용지가 섞였다는 증거다.
🔍 반박:
- 선거관리관 도장은 잉크가 포함된 만년도장 사용.
- 잉크가 다 떨어져 적색 스탬프를 추가로 묻혀 찍은 것.
- 법정에서 아르바이트생이 직접 “내가 찍었다”는 진술서를 제출.
- 해당 투표지는 무효 처리되었으며,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결론: 부정 선거의 증거 없음
- 여러 차례 법적 소송이 진행되었으나, 부정 선거를 인정한 판결은 없었음.
- 여러 음모론이 제기되었지만, 모두 반박 가능하며 기술적 검증에서도 문제가 발견되지 않음.
-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도 부정 선거의 증거는 제출되지 않았음.
📢 결론: 선거 관리 부실 문제는 존재할 수 있지만, 선거 조작의 증거는 없다.
출 처 : 6대 부정선거론 총정리..."모두 반박가능"(손수호 변호사) 2025. 2. 28. CBS 김현정의 뉴스쇼
'8.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 > 8-3. 부정 선거 관련 의혹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재 탄핵심판 2차 변론에서 피청구인측 대리인 정형식 변호사 진술정리 (부정선거의혹) (2) | 2025.03.14 |
---|---|
부정선거 의혹과 사실 검증 (추적 60분 2) (2) | 2025.03.06 |
대한민국 부정선거 음모론과 정치적 혼란: KBS (추적 60분 1) (0) | 2025.02.26 |
윤석열 대통령이 제기하고 있는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Fact - Check (8) | 2025.02.06 |
대한민국 선거 개표방식의 변천과 절차별 부정 개입 가능성 체크 (2)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