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政治)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
15. 시사 Issue를 정리(整理)해 드립니다/15-7. 국내외 경제관련 시사 Issue

정철진 경제평론 (3/25 KBS 사사건건)

by organizer53 2025. 3. 25.

다음은 2025년 3월 25일 KBS  뉴스 경제 코너에서 정철진 경제평론가와의 인터뷰 내용을 핵심 주제별로 본문 충실하면서도 가독성 높게 요약한 정리입니다.

📌 1.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 정치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반영

● 핵심 내용

  • 2024년 12월 ‘계엄 검토’ 정국 이후 급락했던 소비자심리지수, 최근 반등세를 보이다가 2025년 3월 다시 하락, 93.4 기록.
  • 100 미만이면 소비자가 경제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 → 현재 심리 위축 상태 지속.
  • 100선을 4개월 연속 넘지 못한 건 2023년 하반기 이후 처음.

● 구성 항목 6가지:

  1. 금리 전망
  2. 집값 전망
  3. 임금 변화
  4. 취업 전망
  5. 경기 전망
  6. 가계 재정 전망
    → 이 6개 설문을 종합해 지수 산출

● 평론가 해석

  • 자영업자 폐업, 경기침체 현실이 그대로 반영됨.
  • 정치 불확실성(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경제 뉴스의 부정성, 경기 회복 기대감 저하가 복합 작용.
  • 당장 심리 개선 가능성은 낮다, 빠른 정치적 정리 없이는 반등 어렵다고 진단.

 

📌 2. 뉴스심리지수도 하락 – 언론 보도 속 부정적 분위기 영향

● 뉴스심리지수란?

  • 한국은행이 개발한 지표(2022년 도입)
  • 매주 언론 기사에서 긍정/부정/중립 키워드 빈도를 분석 → 경제 분위기 정서 파악

● 현재 상황

  • 최근 수치도 하락 중 → 뉴스 전반에서 부정적 키워드(폐업, 수출 감소, 경기침체 등)가 압도
  • 소비심리와 마찬가지로 ‘정치 불확실성’과 연결

 

📌 3. 부동산 심리 반등 – 주택 가격 전망, 8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 조사 결과

  • 소비심리 지수는 낮지만, 주택가격전망지수만큼은 상승세
  • "집값이 오를 것이다" 응답 급증 → 8개월 내 최대폭 상승

● 해석: 왜 집값 전망만 높아졌나?

  1.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 오세훈 시장의 정책 영향 → 강남·잠실 일대 실제 상승 발생
  2. 금리 하락 분위기
    • 인터넷은행 기준 3.7~3.8%까지 주담대 금리 하락
  3. ‘부동산만 믿는다’는 심리
    • 주식은 여전히 불신, 유동성은 부동산으로 집중

● 평론가 분석

  • "집값 오를 거라는 전망이 많아도 실제 소비로 연결되지 않는다"
    → 과거엔 ‘집값 기대 = 소비 확대’였지만, 지금은 대출 부담 + 경기 불안 탓에 소비 위축

 

📌 4. 향후 집값 전망 – ‘풍선효과’ + ‘정치 변수’ 주시 필요

● 단기적 요인

  •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강남·잠실 중심의 단기 급등 발생
  • 국토부는 풍선효과 발생 시 다른 지역도 재지정 가능하다는 입장

● 구조적 요인

  •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후, 규제 완화가 뒤따르면 "집값은 무조건 오른다"는 신호로 작용
  • 지금 같은 미봉책이나 후행적 규제는 집값을 못 잡는다고 강조

● 정철진 평론가 제언

“정부가 실질적 집값 통제를 원한다면 더 강력한 선제 규제가 필요하다.”
“지금은 집값이 언제든지 다시 튈 수 있는 ‘시한폭탄’ 같은 상태다.”

 

 

📌 5. 결론 요약

 

 

 

 

  :  ChatGPT 4.0
            사사건건 경제
|늦어지는 탄핵 선고에 소비 심리 '위축'...집값은 계속 오른다? / KBS 2025.03.25.
             https://youtu.be/RmmSbsQr7hs?si=XReu4dg5c2agw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