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하 / 기각 / 인용 세 가지 탄핵심판 결론에 대한 예측 시나리오 요약표입니다.
각 경우별로 발생 가능한 헌법재판소 판단의 핵심 논거, 정치적‧법적 파장, 향후 절차, 주요 쟁점 대응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대통령 탄핵심판 결론별 예측 시나리오 표
결론 유형주요 논거법적·정치적 파장향후 절차관련 쟁점별 요약
결론유형 | 주요논거 | 법적·정치적 파장 | 향후 절차 | 관련쟁점별 요약 |
① 각하 (형식 요건 불비로 심리 거부) | - 소추 사유 본질적 변경 (내란죄 삭제) 주장 일부 반영 - 국회 절차상 하자 (예: 일사부재리 원칙 위반, 법사위 사전 조사 없음 등) - 통치행위 주장 일부 수용 |
- 윤 대통령 즉시 복귀 - 민주당 정치적 타격 - 국민 여론 극심 분열 - ‘헌재가 본질 판단 회피’ 비판 가능 |
- 탄핵 무효, 형사재판으로 이관 - 향후 헌법소송 및 위헌법률심판 가능성 |
🔸 통치행위 인정 일부 수용 🔸 탄핵요건 논의 안 하고 절차 판단만 🔸 내란 혐의 평가 유보 |
② 기각 (본안 판단했으나 탄핵요건 불충족) | - 계엄 선포는 위헌적 요소 있으나 파면 사유로 보기는 부족 - 헌법 위반의 중대성과 고의성 인정 안 됨 - 대통령의 직무수행 곤란 상태까지 아님 |
- 윤 대통령 즉시 복귀 - 정치적 정당성 회복 시도 - 민주당 비판 및 정치 지형 변화 가능 - 헌재, 균형 잡힌 판단 이미지 |
- 대통령 복귀 후, 국정 정상화 추진 - 형사 재판 병행될 수 있음 |
🔸 계엄은 위법이나 '중대성' 부족 판단 🔸 국무회의 등 절차 위반은 ‘실수 수준’ 해석 가능 🔸 내란 혐의 형사판단으로 넘김 |
③ 인용 (탄핵 인용 → 파면) | - 헌법상 절차 무시한 계엄 선포, 국회 침탈 시도 등 중대한 위헌행위 - 국헌문란 목적에 부합하는 내란 행위 성격 - 국민 기본권 중대 침해 |
- 윤 대통령 즉시 파면 - 권한대행 체제 → 60일 이내 대선 - 정치권 전면 재편 - 한국 헌정사상 중대한 판례 축적 |
- 대통령 직무대행 체제 전환 - 조기 대선 실시 - 형사재판 진행 및 역사적 재평가 |
🔸 계엄 절차 전면 위반 → 헌법 수호 실패 🔸 국회 침탈 등 내란 목적 인정 🔸 통치행위 불인정, 명백한 사법심사 대상 |
📌 종합 판단 기준 요약
판단 기준 | 각하 | 기각 | 인용 |
소추 절차 적법성 | 불비 | 적법 | 적법 |
탄핵 사유의 중대성 | 판단 안 함 | 불충분 | 충분 |
계엄 선포 절차 위반 | 판단 안 함 | 인정하나 미약 | 중대 위헌으로 판단 |
국회 침탈 등 물리력 행사 | 판단 안 함 | 불인정 | 국헌문란 목적 인정 가능 |
통치행위 여부 | 인정 또는 논란 회피 | 사법심사 대상 인정 or 논의 없음 |
명확한 사법심사 대상 인정 |
'8.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 > 8-1. 윤석열 탄핵 심판의 쟁점과 진술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법재판소가 진행하는 탄핵심판의 핵심 네 가지 쟁점 (2) | 2025.03.11 |
---|---|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진술 요약 정리 (한겨레 TV) (0) | 2025.03.01 |
윤석열 대통령 최후 변론에 대한 JTBC 팩트체크 (2) (1) | 2025.02.28 |
윤석열 대통령 최후 변론에 대한 JTBC 팩트체크 (1) (4) | 2025.02.28 |
11차 탄핵심판 변론에서 발표한 윤석열의 최후 변론 (4) | 2025.02.27 |